<현장에서>로컬푸드, 발 빠른 지자체는 이미 움직였다
<현장에서>로컬푸드, 발 빠른 지자체는 이미 움직였다
  • 정순영 기자 soon@okinews.com
  • 승인 2010.03.26 00:03
  • 호수 10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식량자급률'이라는 개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한 나라의 식량 총 소비량 중 국내생산으로 공급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의미하는 것이 바로 식량자급률이다.

그렇다면 우리고장의 식량자급률은 얼마나 될까? 5만4천여 주민들의 밥상을 채우는 먹을거리 중 지역 농산물로 공급된 식자재의 사용 비율은 얼마나 될 것인가? 이 같은 질문에 '뭘 그런 것까지 계산하고 사느냐'라고 웃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미 '지역 식량자급률'이라는 개념을 도입해 그 수치를 산출해 내고 그것을 기반으로 지역 식량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100억원 가까운 예산을 들여 5개년 계획을 세우는 자치단체가 있으니 바로 강원도 원주시 이야기이다.

19일 서울교대 한 강의실에서 열린 '로컬푸드 운동 활성화 방안 찾기' 포럼에서는 원주시의 사례를 포함해 로컬푸드에 '필(feel)' 꽂힌 자치단체들의 다양한 사례들이 소개돼 눈길을 끌었다. 우리고장에선 향수30리 아카데미 운영 기관으로 잘 알려진 지역재단이 주최한 이 날 포럼에 참석한 지역 농민들, 중앙부처 농업관련 공무원, 대학 교수 등은 그 누구도 '이제 로컬푸드가 대세다'라는 점에 이의를 달지 않았다.

그렇다면 왜 로컬푸드일까? '로컬푸드'가 지역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지는 지역 주민들 간의 토론을 통해 지역 나름의 의미를 찾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다만 원주시의회가 지난해 마지막 날 통과시킨 '원주푸드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나 올해 의회 상정을 준비 중인 '평택시 평택푸드 지원에 관한 조례안'등을 살펴보면 그 의미를 조금은 짐작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원주시는 조례 제1조 목적을 통해 '이 조례는 원주시 지역에서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생산ㆍ가공된 안전한 농산물과 우수한 품질의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농촌 환경의 보존과 시민의 건강증진 및 식량주권 확보를 위하여 원주푸드 육성 및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밝히고 있다. 로컬푸드를 농업농촌을 살리고 지역 주민의 안전한 밥상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열쇠로 보고 있는 것이다.

원주시는 지역 농업계와 행정기관의 협력을 통해 전국 어느 지역보다 '로컬푸드'라는 개념을 선점했다는 자신감 속에 올 6월 '대한민국 로컬푸드 정책 포럼' 개최도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들이 자치단체에게 있어 그저 '선택 사항' 중 하나일 뿐일까? 조금만 관심을 갖고 들여다보면 이제 로컬푸드는 유행이 아닌 지역 생존의 문제라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당장 지난해 11월 국회에서 통과된 '식생활교육지원법'에 따르면 자치단체장은 5년마다 지역의 식생활 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해야 한다. 우리고장 아이들의 식생활 교육을 위한 소재를 대형유통센터에서 건너 온 출처를 알 수 없는 농산물로 할 것인가? 아니면 바다 건너 온 바나나로 할 것인가? 답은 바로 로컬푸드에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